경기도 김성중 행정1부지사가 11일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동연표 폭염 긴급 대책'을 발표했다. [사진=경기도청 제공]

[메가시티뉴스 송원석 기자] 경기도가 118년 만에 수도권을 덮친 극한 폭염에 '김동연표 폭염 긴급 대책'을 마련했다.

경기도 김성중 행정1부지사는 11일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올해 폭염은 도민들의 생활을 위협하는 재난으로 판단했다"면서 △경기도와 GH가 발주한 총 72개 공사현장에 '폭염 안전 대책' 긴급 시행 △폭염 대비 냉방비 지원 △보냉 안전기구 제공 △이주노동자 폭염 안전 대책 동일 지원 등 핵심 네 가지 내용을 발표했다.

김 부지사는 "경기도와 GH가 관리하는 공사 현장은 체감온도 35℃ 이상 인 경우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작업을 전면 중지하고, 체감온도 33℃ 이상인 경우 매 2시간 이내 20분 이상 휴식 의무화를 즉시 시행한다"면서 "'산업안전보건법'과 '고용노동부 온열질환 예방지침'보다 더욱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고 현장 노동자 보호를 위해 경기도가 선제적으로 실행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폭염 대비 냉방비를 취약 계층에게 200억 원, 무더위 쉼터에 15억 원을 지원한다"면서 "취약계층 냉방비 지원 대상은 기초생활 수급가구와 차상위 계층 약 39만 가구에 가구당 5만 원씩 냉방비가 지원되고, 경로당과 마을복지회관 등 8천 8백 여 개 무더위쉼터에 15억을 긴급 지원한다"고도 발표했다.

또, "재해구호기금 15억 원으로 폭염 안전 5대 기본수칙 중 하나인 보냉장구를 옥외노동자, 논밭노동자 등 취약분야에 지원한다"면서 "얼음조끼, 쿨토시 등 보냉장구를 휴게시설이 미 설치된 2천여 개 소규모 건설현장의 노동자와 야외 논밭에서 일을 해야하는 농업인 등 폭염 취약 분야 종사자 분들에게 지원하고, 이를 위해 민간단체인 자율방재단 9천여 명과 의용소방대 1만1천여 명 등 지역 방재 인력이 현장을 돌며 물품 지원과 점검 활동 실시한다"고 알렸다.

김 부지사는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이주 노동자 2천9백여 명에게도 내국인과 동등한 폭염 안전 조치가 적용되도록 하겠다"면서 "노동안전지킴이 등을 활용해 공사장 방문 시 이주 노동자가 스스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다국어로 제작된 '온열질환 예방가이드'를 배포하고, 공사현장 냉방시설, 휴게시설 적정 설치 여부도 병행 점검하겠다"고 약속했다.

마지막으로 김 부지사는 "이번 긴급폭염 대책을 차질없이 시행해 폭염으로부터 도민의 생명과 일상을 지키기 위한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면서 "도민 여러분께서는 폭염 발생 시 낮 시간 야외활동을 자제해 주시고 주변의 어르신이나 취약한 이웃들을 한 번 더 살펴봐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